엑셀에서 특정 조건 맞는 셀 개수 쉽게 세는 COUNTIF 함수

안녕하세요! 당신의 프로그램 비서, 프비입니다. 😊

 

엑셀에서 데이터를 정리하다 보면 이런 궁금증이 생길 때가 있으실 거예요. "이 목록에 '판매 완료'가 몇 개나 있지?", "80점 넘은 학생이 몇 명이지?", "특정 지역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몇 행이지?" 와 같이 어떤 조건을 만족하는 셀이 몇 개나 있는지 개수를 세고 싶을 때가 있는데요. 데이터가 많을수록 일일이 눈으로 세기는 어렵고 실수하기도 쉽죠.

 

하지만 걱정 마세요! 엑셀에는 이런 작업을 아주 쉽고 빠르게 해결해 주는 유용한 함수가 있답니다. 바로 COUNTIF 함수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프로그램 비서 프비가 엑셀 COUNTIF 함수를 사용해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셀의 개수를 쉽게 세는 방법을 아주 쉽고 명확하게 알려드릴게요. COUNTIF 함수 하나만 알아두셔도 엑셀 데이터 집계 작업이 훨씬 수월해질 거예요!

 

3-1. 해결 방법 - COUNTIF 함수 사용법 (텍스트 설명):

자, 그럼 이제 엑셀 COUNTIF 함수를 사용해서 특정 조건에 맞는 셀의 개수를 세는 방법을 차근차근 알아볼까요? 함수의 구성과 사용법을 스크린샷 없이도 이해하실 수 있도록 자세하게 안내해 드릴게요!

 

COUNTIF 함수란? : 지정한 범위(Range) 안에서 하나의 조건(Criteria)에 맞는 셀이 몇 개인지 개수를 세어주는 함수입니다.

 

함수 기본 구조: = COUNTIF ( 범위 , 조건 )

  • 범위 (Range): 개수를 세려고 하는 셀들이 모여 있는 영역입니다. (예: A1:A10 또는 C2:C50)
  • 조건 (Criteria): 개수를 셀 때 적용할 조건입니다. 이 조건에 맞는 셀의 개수를 셉니다.

COUNTIF 함수 사용 단계:

  1. 결과를 표시할 셀 선택: 개수를 세어 나온 결과 값을 표시하고 싶은 셀을 마우스로 클릭하여 선택합니다.

  2. 함수 입력 시작: 선택한 셀에 등호(=)를 입력한 후, 함수 이름인 COUNTIF를 입력합니다. =COUNTIF 까지 입력하면 엑셀이 관련 함수 목록을 보여줄 거예요. COUNTIF를 선택하고 괄호 (를 열어줍니다. (=COUNTIF() 와 같은 형태가 됩니다)

  3. '범위' 지정: 개수를 세려고 하는 셀들이 있는 범위를 마우스로 드래그하여 선택합니다. 예를 들어 A1부터 A100까지의 셀을 검사하고 싶다면, A1 셀부터 A100 셀까지 마우스로 끌어 선택하면 됩니다. 선택하면 수식 입력 줄에 A1:A100 과 같이 자동으로 입력될 거예요.

  4. '조건' 입력: 범위를 지정했다면 이제 쉼표 , 를 입력하여 범위 입력과 조건 입력을 구분합니다. (예: =COUNTIF(A1:A100 ,)
    • 이제 어떤 셀의 개수를 세고 싶은지에 대한 조건을 입력합니다. 조건 입력 방법은 조건의 종류에 따라 다릅니다.
      • 특정 텍스트와 같은 셀 세기: 텍스트는 반드시 큰따옴표 " 로 묶어서 입력합니다. (예: "판매 완료" 또는 "사과") -> =COUNTIF(A1:A100 , "판매 완료")

      • 특정 숫자와 같은 셀 세기: 숫자는 그냥 입력합니다. (예: 80 또는 15000) -> =COUNTIF(B1:B50 , 80)

      • 특정 숫자보다 크거나 작은 셀 세기: 부등호(>, <, >=, <=, <>)와 숫자를 조합하고 큰따옴표 " 로 묶어서 입력합니다. (예: " > 80", " < 100", ">= 90") -> =COUNTIF(C1:C30 , ">= 90")

      • 다른 셀의 값과 같은 셀 세기: 조건을 다른 셀의 값으로 지정하고 싶다면, 그 셀의 주소만 입력합니다. 이때는 큰따옴표로 묶지 않습니다. (예: D1 셀의 값과 같은 셀 세기) -> =COUNTIF(A1:A100 , D1)
  5. 괄호 닫고 완료: 조건까지 모두 입력했다면 괄호 ) 를 닫고 Enter 키를 누릅니다. (=COUNTIF(A1:A100,"판매 완료") 와 같은 형태가 최종 수식이 됩니다)

간단한 예시: 만약 A1부터 A5 셀에 각각 "사과", "바나나", "사과", "오렌지", "사과" 라고 입력되어 있을 때, A1부터 A5 셀 중에서 "사과"가 몇 개인지 세고 싶다면, 결과가 나올 셀에 이렇게 입력하면 됩니다. =COUNTIF(A1:A5 , "사과") 결과 값으로 3이 표시될 것입니다.

 

3-2. 왜 이렇게 개수가 세어질까? (COUNTIF 함수 작동 원리)

COUNTIF 함수는 지정된 '범위' 안에 있는 각 셀들을 하나씩 살펴보면서, 그 셀의 값이 우리가 지정한 '조건'과 일치하는지 검사합니다. 만약 조건과 일치하는 셀을 발견하면 함수 내부의 카운터를 1씩 증가시킵니다. 범위를 처음부터 끝까지 모두 검사한 후, 최종적으로 증가된 카운터 값, 즉 조건에 맞는 셀의 총 개수를 결과 값으로 반환해 주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3-3. 이렇게 함수를 사용하면 좋은 점

COUNTIF 함수는 엑셀 데이터 분석 및 집계 작업의 효율성을 크게 높여줍니다.

  • 자동화 및 시간 절약: 조건을 만족하는 셀의 개수를 수동으로 일일이 세는 대신 함수 하나로 자동 계산하여 시간을 엄청나게 절약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의 양이 많을수록 효과는 더욱 커집니다.

  • 정확성 향상: 사람이 직접 세는 것보다 실수가 발생할 확률이 훨씬 낮아 데이터 집계 결과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데이터 변경 시 자동 업데이트: 범위 안의 데이터가 변경되어도 COUNTIF 함수의 결과 값은 자동으로 다시 계산되어 항상 최신 상태를 유지합니다.

  • 다양한 조건 적용 가능: 특정 텍스트, 숫자, 날짜, 부등호 등 다양한 형태의 조건을 적용하여 유연하게 개수를 셀 수 있습니다.

 

자, 이제 엑셀 COUNTIF 함수를 사용해서 특정 조건에 맞는 셀의 개수를 쉽고 정확하게 세는 방법을 모두 마쳤습니다! 간단한 함수 입력만으로 복잡한 데이터 속에서 원하는 정보의 개수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게 됩니다.

 

프로그램 비서 프비가 알려드린 이 팁이 엑셀 데이터 집계 및 분석 작업을 더 효율적으로 만드는 데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앞으로도 '당신의 프로그램 비서' 블로그에서는 여러분의 프로그램 사용을 돕는 유용한 팁들을 꾸준히 전해드릴 예정이니, 언제든 편하게 다시 찾아와 주세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